본문 바로가기
부동산과 친해지기

['전세사기 피해자'가 알려주는 전세 안전 가이드 - 3편 -] 전세계약 후 입주 전 확인해야 할 사항

by ujzzzi2 2025. 2. 12.

 

전세계약 후 입주 전 확인해야 할 사항

전세계약을 무사히 마쳤다고 끝이 아닙니다! 전세 입주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. 입주 후 하자 문제, 관리비 폭탄, 수도·전기·가스 미납 등의 문제를 피하려면 철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.

1. 전기·수도·가스 정상 작동 여부 확인

입주 후 갑자기 전기가 안 들어오거나 수도가 안 나온다면 큰 불편을 겪게 됩니다. 따라서 입주 전 반드시 모든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✅ 확인 방법:

  • 전기: 모든 방의 스위치를 켜보고 콘센트에 전기 제품(충전기 등)을 꽂아 작동 여부 확인
  • 수도: 모든 수도꼭지를 틀어 물이 잘 나오는지 확인하고, 물 색깔과 냄새 점검
  • 가스: 가스 밸브를 열고 가스레인지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

💡 TIP: 전기·수도·가스 요금 미납 여부도 반드시 확인하세요. 미납된 요금이 있다면 집주인과 해결 후 입주해야 합니다.

2. 계약서 특약 사항 점검

전세계약 시 작성한 특약 사항을 입주 전에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합니다.

✅ 필수 점검 항목:

  • 벽지, 장판, 싱크대 등 수리가 필요하다고 했던 부분이 정상적으로 보수되었는지
  • 약속된 가전제품(에어컨, 세탁기, 냉장고 등)이 정상 작동하는지
  • 기존에 있던 하자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았는지

💡 TIP: 집 상태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해 둬야 나중에 보증금 반환 시 불리한 상황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3. 관리비 및 공과금 확인

전입 후 예상치 못한 관리비 폭탄을 맞지 않으려면 사전에 관리비 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.

✅ 확인해야 할 사항:

  • 관리비 항목 및 평균 금액 (공용 전기, 수도, 청소비 등 포함)
  • 개별 납부해야 하는 공과금 (전기, 수도, 가스, 인터넷 등)
  • 기존 세입자의 미납금이 있는지 확인

💡 TIP: 미납 요금이 있는 경우 집주인과 해결 후 입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4. 집 내부 하자 점검

입주 후 발견한 하자는 집주인이 해결해주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. 따라서 입주 전에 하자를 꼼꼼히 점검하고 집주인에게 수리를 요청해야 합니다.

✅ 체크해야 할 주요 하자:

  • 벽지, 바닥(장판, 마룻바닥) 찢어짐, 곰팡이 여부
  • 창문 및 방문이 정상적으로 닫히는지
  • 싱크대, 화장실 누수 여부 확인
  • 에어컨, 보일러 정상 작동 여부

💡 TIP: 하자가 있으면 반드시 사진을 찍어두고 집주인에게 수리 요청을 해야 합니다.

5. 우편물 및 전입신고

전입신고는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전세보증금을 보호받기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.

✅ 전입신고 방법:

  •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
  • 정부24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
💡 TIP: 전입신고 후 확정일자를 받아야 전세보증금 보호가 가능합니다.

6. 집 주변 환경 체크

집 내부 점검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도 입주 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.

✅ 확인해야 할 사항:

  • 편의시설(마트, 은행, 병원 등) 접근성
  •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
  • 치안 상태 (CCTV 설치 여부, 경찰서·파출소 거리 등)

💡 TIP: 야간에 직접 방문하여 주변 환경을 점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
📌 입주 전 필수 체크포인트 요약

✅ 전기·수도·가스 점검

모든 설비가 정상 작동하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.

📜 계약서 특약 확인

약속된 수리 및 가전제품이 정상인지 체크!

💰 관리비 및 공과금

미납 요금 확인 후 집주인과 해결하세요.

🔍 집 내부 하자 점검

벽지, 바닥, 누수 여부를 꼼꼼히 체크하세요.

📬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

전입신고 후 확정일자를 받아야 보증금 보호 가능!

🏡 주변 환경 점검

치안, 교통, 편의시설을 미리 확인하세요.

❓ 전세 입주 전 자주 묻는 질문

입주 전 전입신고를 해도 되나요?

입주 전에는 불가능하며, 실제 거주한 후 신고해야 합니다.

전 세입자의 공과금 미납은 어떻게 확인하나요?

관리사무소나 해당 공공기관에 문의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입주 전에 집 상태를 점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?

사진 및 영상을 촬영하고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세요.

입주 전 가구 및 가전 배치는 미리 해도 될까요?

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집주인 동의가 필요합니다.

전세집 주변 환경은 언제 확인하는 것이 좋나요?

낮과 밤에 방문해 치안과 소음 등을 점검하세요.

🔎 마무리 및 다음 포스팅 예고

전세 입주 전에는 전기·수도·가스 점검, 하자 체크, 관리비 확인, 전입신고 등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. 이러한 점검을 통해 안전하고 편안한 전세 생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
다음 포스팅에서는 "전세 거주 중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"을 다룰 예정입니다. 거주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누수, 소음 문제, 계약 위반 상황 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릴 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!

전세입주체크리스트, 전세하자점검, 전입신고, 전세입주팁, 전세계약후점검, 부동산입주체크, 전세사기예방, 전세입주준비, 전세관리비, 확정일자